1. Circuit Network

-> 회선망에서는 Congestion이 발생하지 않는다.

  : 그렇기 때문에 Congestion Control를 할 필요성을 느끼지 않는다.

2. Packet Network

 -> 우리가 사용하는 Packet망에서는 Congestion이 발생한다.

  : 그렇기 때문에 Congestion Control를 당연히 해야 한다.

3. Flow Control보다

-> Flow Control은 CPU가 많이 발전했기 때문에 잘 하지 않는다.

4. 트래픽강도 (Traffic Intensity)

 -> 처리할 수 있는 Queue에 트래픽의 집중성을 의미한다.

 -> La / R

  : R (packet를 처리할 수 있는 bandwidth)

  : L (packet의 길이 또는 개수)

  : a (packet이 Queue에 도착하는 평균 속도)

 -> La / R < 0

  : Queueing Delay가 매우 작다.

 -> La / R -> 1

  : Queueing Delay가 커진다.

 -> La / R > 1

  : Queueing Delay가 무한대로 증가한다.

  : 즉, Queue에 도착하는 비트가 Queue에서 전송되는 비율을 초과하는 경우

5. 발생하는 이유

 -> Packet Network에서는 하나의 공용라인을 사용하여 여러 Sender가 data를 전송한다.

  : 여러개의 Sender가 높은 전송률로 data를 전송하게 된다.

  : 통계적 다중화 방식

 ->  트래픽 강도가 1로 가거나 넘었을 때

  : 큐잉지연이 증가되고

  -> Queue의 용량이 무한대가 아님으로 Packet의 지연이 무한대가 되지 않는다.

  : Queue에서 더 이상 받을 수 없고 

  : 손실이 생기고 

  : 불필요한 재전송이 발생하게 된다.

6. Congestion의 또 하나의 Cost

 -> Congestion으로 인해 packet이 경로상에 버려질 때

  : 버려지는 지점까지

  : packet을 전송하는데 사용된 router의 전송 용량은 쓸모없어진다.

7. Congestion Control 접근방법

 -> End-End Congestion Control

 -> Network-assisted Congestion Control

8. End-End Congestion Control

 -> TCP가 Congestion Control을 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식이다.

 -> Network로부터 어떠한 Feedback을 받지않고

  : 손실과 지연등의 현상을 관찰하여 End System이 추측한다.

'Transport_Layer > $_Congesti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4_TCP Slow Start  (1) 2014.02.20
3_TCP AIMD  (0) 2014.02.20
2_TCP Congestion Control  (0) 2014.02.20
Posted by 훈승오승훈
l